2022-07-10
서비스가 개발되고 운영하는 중에서 백엔드 로직의 변경은 굉장히 위험하고 스릴(?)있다. 이 것에 맛들리면 가끔은 서버가 멈추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어서 굉장히 위험하지만, 변화가 없는 서비스는 결국 망하고 말 것이다. 물론 주변에는 변화가 없는데도 사람들이 쓰는 소프트웨어가 있긴 하지만 대체제가 안나올 정도로 엄청나게 잘 짜여진 소프트웨어가 아니라면 사람들이 더 많이 쓰도록 더 잘 쓰도록 변화를 주어야 이 승자독식인 생태계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.
운영중인 서비스의 백엔드는 작은 변경사항에도 서비스 전체를 멈출 수도 있지만, 프론트엔드에서는 작은 변경사항은 서비스 전체에 영향을 미치진 않고, 사람들의 사용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.
지금부터 잘(?) 운영중인 link in bio 서비스 달링크의 사용성 개선을 위해 어떻게 접근을 했는 지 한번 알아보려고 한다.
서비스를 개선하기 전에 꼭 확인 해야하는 것들이 있다.
1과 2는 사실 같은 얘기다. 1.은 정성적 분석 또는 직관으로 알아내는 것이다. 2.는 분석과 직관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근거가 된다. 2.가 되려면 GA등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. 3.은 이후 문제를 가장 적은 리소스로 해결 하는 방법을 말한다.
이 과정은 학부생시절 전공 실험 수업에서 했던 리포트 작성이나 졸업 논문을 쓰는 과정과 비슷한 느낌이 든다. 그땐 정말 재미없었고 왜 해야하는 지 이해가 안되었지만, 그때의 공부들과 기억이 지금 도움이 된다.
가설을 만들고 실험 을 설계하는 것은 어려워 보이지만 생각을 단순하게 한다면 쉬워진다. 서비스를 운영한다는 것은 하나의 가설을 증명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, 서비스의 가설을 아래처럼 만들 수 있다.
사람들은
하는 것을 좋아할까?모든 서비스는 위의 네모 박스를 채운다고 보면된다. 예를 들어보자면, 사람들은 쉽게 송금하는 것을 좋아할까? 사람들은 자기 사진을 친구들에게 공개하는 것을 좋아할까? 사람들은 동네사람들에게 더 친근감을 느낄까? 사람들은 이성과의 만남을 위해 채팅 어플을 쓸까? 등등 여러가지 가설을 새울 수 있다.
가설이 들어맞는다면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나고 가설이 더 강력하고 구체적일 수록 더 큰 수치로써 근거가 되어줄 것이다.
가설이 통했고, 사용자가 늘었으면, 아래처럼 뭔가 불편하게 하거나, 더 편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재방문율을 높여볼수도 있다.
확장 가설 1(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어도 행동에 변함이 없는 지 확인)
사람들은 (조금 귀찮겠지만)
해도 하는 것을 좋아할까?확장 가설 2(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으로 행동을 장려)
사람들은